예금보다 CMA통장이 낫다던데, 진짜일까요?
최근 주변에서 이런 말을 자주 듣습니다.
“CMA는 금리도 높고, 출금도 자유롭다더라”
“요즘엔 예금보다 CMA통장으로 단기 자금 굴리는 게 낫대”
하지만, 막상 은행 앱을 열어보면 어떤 걸 선택해야 할지 헷갈리죠.
오늘은 예금과 CMA통장의 차이를 간단하게 비교하고,
누구에게 어떤 선택이 유리한지 정리해드립니다.
✅ CMA통장이 뭔가요?
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의 줄임말입니다.
증권사에서 개설하는 통장으로, 돈을 맡기면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 구조예요.
대부분 MMF(머니마켓펀드), RP(환매조건부채권) 등 금융상품에 자동 투자되어
예금보다 금리가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.
✅ 예금 vs CMA, 어떤 차이가 있나요?
구분 | 예금 | CMA |
---|---|---|
개설처 | 은행 | 증권사 |
예금자보호 | O (5천만원 한도) | X (RP형 일부만 예외) |
출금 자유도 | 일정 기간 만기까지 불가 | 자유로운 입출금 |
이자 지급 | 만기일에 지급 | 매일 이자 발생 |
금리 | 고정 (연 2~3% 수준) | 변동 (연 2~3% 수준, 시기에 따라 다름) |
✅ CMA통장이 유리한 사람은 누구일까요?
✔ 자주 돈을 입출금해야 하는 경우
: 사업자나 프리랜서, 비상금 관리 등
✔ 단기간 자금을 굴리고 싶은 경우
: 예금에 묶이기 싫고, 하루라도 이자 받고 싶은 경우
✔ 증권사 계좌를 활용하고 싶은 경우
: 주식 계좌와 연동되어 간편하게 자금 운영 가능
❗ 예금이 더 유리한 경우는?
-
예금자 보호가 꼭 필요한 경우
→ CMA는 대부분 보호 대상이 아니므로 큰 금액은 예금에 넣는 게 더 안전 -
장기 자금을 안정적으로 보관하고 싶은 경우
→ 1년 이상의 자금은 정기예금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음
✅ 정리하면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
-
단기 비상금/유동자금 → CMA통장 추천
-
안정적인 장기보관/보호가 필요한 자금 → 정기예금 추천
요즘 같은 고금리 변동기엔,
각자의 목적에 맞는 금융상품 선택이 중요합니다.
CMA와 예금, 단순히 금리만이 아니라
자금의 성격에 따라 전략적으로 선택해보세요.
By. 머니레시피 (MONEY RECIP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