처음 월급을 받고 “어? 내가 계약한 월급이랑 다른데?”라는 생각, 누구나 한 번쯤 해보셨죠.
월급 250만원인데 통장에 들어온 건 180만원…
처음엔 어딘가 잘못된 줄 알았지만, 알고 보니 '급여명세서'에 다 나와 있습니다.
우리가 받는 월급에는 ‘보이지 않는 공제’가 숨어 있어요.
바로 소득세와 4대 보험입니다.
이 글에서, 도대체 뭐가 빠져나가는 건지, 얼마나 빠지는 건지 아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.
🧾 급여명세서에서 빠지는 항목들
항목 | 설명 |
---|---|
소득세 | 근로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. 국세로 납부됨. |
지방소득세 | 소득세의 10% 수준. 지방정부에 납부. |
국민연금 | 노후에 연금으로 돌려받는 사회보험. 보통 4.5% 공제. |
건강보험 | 의료비를 줄이기 위한 보험. 약 3.545% 공제. |
장기요양보험 | 건강보험료의 12.81% 추가 공제. |
고용보험 | 실직 시 실업급여 수급을 위한 보험. 0.9% 공제. |
🔸 이 모든 걸 합치면, **세전 월급의 약 13~15%**가 빠져나갑니다.
💰 실수령액 계산 예시
세전 월급 250만원 기준
-
소득세: 약 27,000원
-
지방소득세: 약 2,700원
-
국민연금: 112,500원
-
건강보험: 88,625원
-
장기요양보험: 약 11,357원
-
고용보험: 22,500원
📉 총 공제: 약 264,682원
👉 실수령액: 약 1,735,318원
※ 회사마다 차이는 있지만, 위 금액은 평균적입니다.
✅ 비과세 항목을 알면, 실수령액을 늘릴 수 있어요
-
식대, 교통비, 야간수당 등 일부 항목은 비과세 처리 가능
-
비과세 항목이 많을수록 과세 대상 급여가 줄어 실수령액이 올라감
📌 회사에 따라 적용 여부 다르니, 인사팀에 문의해 보세요.
🪙 연말정산으로 다시 돌려받을 수도 있어요
-
매달 공제되는 소득세는 ‘예상세금’
-
실제 지출을 기준으로 연말에 정산
-
신용카드 사용, 보험료 납입, 월세 등 다양한 공제 항목 확인 필수
🧾 요약정리
✔️ 월급에서 빠지는 항목은 세금 + 4대보험
✔️ 세전 월급의 **13~15%**가 빠져나간다고 생각하면 정확
✔️ 비과세 항목과 연말정산 공제로 실수령액 조절 가능
💬 “생각보다 적게 들어오는 월급, 어디서 빠졌는지 알고 나면 덜 억울합니다.”
👉 당신의 ‘실수령액’도 이제 관리할 수 있어요. 머니레시피에서 계속 알려드릴게요!
By. 머니레시피 (MONEY RECIP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