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연말에 한꺼번에 넣으면 되지 않나요?”
아니요. 세액공제는 먼저 준비하는 사람이 더 챙깁니다.
연금저축과 IRP(개인형 퇴직연금)는 대표적인 절세 상품입니다.
하지만 “연말에 몰아서 넣는 게 효율적이다”라고 생각하면, 오히려 손해일 수 있어요.
✅ 왜 지금 넣어야 할까?
-
세액공제 한도는 연 700만 원
-
연금저축: 400만 원까지
-
IRP: 추가로 300만 원까지
-
총합 최대 700만 원 납입 시, 세액공제 최대 115.5만 원까지 가능
-
-
소득 구간에 따라 공제율이 다름
-
연소득 5,500만 원 이하: 16.5%
-
연소득 초과 시: 13.2%
-
-
연말에 몰아서 넣으면?
-
납입 한도가 모자라서 아깝게 놓치거나
-
분할 납입보다 수익률이 낮을 수 있음
-
✅ 실제 세액공제 예시
-
김OO님, 총 급여 4,500만 원
-
연금저축 300만 원 납입 → 49.5만 원 세액공제
-
IRP 300만 원 납입 → 49.5만 원 세액공제
-
합계 99만 원 절세 가능
✅ 지금부터 매달 분할 납입하면
→ 부담도 덜고, 절세 효과는 동일합니다.
✅ 연금저축 vs IRP, 뭐가 다르죠?
항목 | 연금저축 | IRP |
---|---|---|
가입 대상 | 누구나 | 소득 있는 자 (근로자, 사업자 등) |
세액공제 한도 | 400만 원 | 300만 원 (연금저축과 합산 최대 700만) |
중도 인출 가능 여부 | 일부 가능 (단, 요건 충족 시) | 원칙적으로 어려움 |
퇴직금 수령 여부 | 해당 없음 | 퇴직금 포함 가능 |
✅ 연말정산 전에 꼭 기억하세요
-
월별로 나눠서 납입: 부담은 줄이고, 절세는 그대로
-
소득 구간 확인 후 공제율 계산
-
중도 해지 시 패널티도 체크 (세금 추징)
💬 마무리 한 마디
연금저축과 IRP는 단순한 노후 준비 수단이 아닙니다.
지금부터 차곡차곡 쌓으면, 미래도 챙기고 절세도 됩니다.
돈이 나가는 게 아니라, 미래를 위한 ‘투자’입니다.
By. 머니레시피 (MONEY RECIP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