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장 그만두고 실업급여 신청까지 마쳤는데,
갑자기 집으로 날아온 건강보험 고지서.
“어라? 실업자인데 왜 보험료가 이렇게 많지?”
퇴사 후 겪는 혼란 중 하나가 바로
‘직장가입자 → 지역가입자’ 전환입니다.
직장 다닐 땐 회사가 반을 내줬지만,
이제는 전액을 본인이 부담해야 하죠.
하지만 걱정 마세요.
실업 상태에서 보험료를 줄이거나, 유예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.
🟡 본문: 퇴사 후 건강보험료, 어떻게 되는 건가요?
1️⃣ 퇴사하면 ‘지역가입자’로 자동 전환
-
회사 퇴사 → 직장가입 자격 상실
-
건강보험 지역가입자로 자동 전환됨
-
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따로 알림이 오거나, 고지서가 발송됨
2️⃣ 보험료는 어떻게 정해지나요?
-
지역가입자는 소득·재산·자동차 등 여러 기준으로 산정
-
퇴사 직후엔 이전 직장소득 기준으로 보험료가 산정되기도 함
-
그래서 “소득이 없는데 왜 이렇게 비싸요?”라는 말이 자주 나오는 이유
🟡 꿀팁: 실업급여 수령 중 보험료 줄이는 법
✔️ 1. 실업자 보험료 경감 신청하기
-
국민건강보험공단에 ‘실직자’임을 신고하면
-
보험료 최저 수준으로 감면 가능
-
실업급여 수급 중이라면 거의 대부분 감면 대상
📌 신청 방법
-
전화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신청
-
필요한 서류: 퇴사확인서 또는 실업급여 수급자격 증명서
✔️ 2. 납부 유예 신청도 가능해요
-
당장 보험료 내기 부담된다면
-
분할 납부나 일정 기간 납부 유예 신청 가능
-
단, 유예 기간에도 보험은 유지되며, 이후 납부해야 함
🟡 마무리: 퇴사 후 보험료, 당연히 줄일 수 있습니다
직장을 그만뒀다고
건강보험료까지 무겁게 짊어질 필요는 없어요.
✅ 실업급여 수급자라면
→ 보험료 경감 신청 먼저!
✅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면
→ 납부 유예나 분할 납부도 고려해보세요.
작은 신청 하나로도
매달 나가는 돈, 생각보다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By. 머니레시피 (MONEY RECIP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