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장인 A씨는 갑자기 급한 지출이 생겨, 평소 미리 만들어둔 마이너스 통장을 꺼냈습니다.
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죠.
"이거 쓰기만 하면 바로 이자 나가는 거야? 아니면 안 쓸 땐 안 나가?"
마이너스 통장(한도대출), 생각보다 많이 쓰이지만
막상 이자 구조는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마이너스 통장을 썼을 때 언제부터 이자가 발생하는지,
이자 계산 방식은 어떤지, 그리고 주의할 점은 뭔지
알아두면 돈 아끼는 꿀팁까지 정리해 드릴게요.
✅ 마이너스 통장이란?
-
은행에서 미리 정해준 한도 내에서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신용대출
-
통장에 돈이 없어도 자동으로 마이너스(–) 상태로 인출 가능
-
주로 급전이 필요한 상황이나, 비상금용으로 활용됨
📌 보통 연봉의 1~1.5배 수준으로 한도가 정해지고,
신용도에 따라 금리가 달라집니다.
✅ 이자, 언제부터 나가나요?
✔️ “사용한 날부터” 이자가 발생합니다.
-
마이너스 통장은 개설만 해놨다고 이자가 나가지 않아요.
-
단 한 푼이라도 인출하면, 그날부터 이자 발생
-
이자 계산은 매일 계산해 한 달 단위로 납부하게 됩니다.
예시) 500만 원 한도 중, 200만 원만 인출했다면 →
200만 원에 대한 이자만 발생
✅ 이자 계산 방식은?
-
이자 = 사용금액 × 연이자율 ÷ 365 × 사용일수
-
금리는 보통 연 5%~9% 수준이며, 신용도에 따라 차이 있음
-
매일매일 이자가 쌓이고, 보통 매달 10일쯤 자동 출금됨
✅ ‘복리’가 아닌 단리 방식
(매일 단순하게 쓴 금액 기준으로만 이자 계산)
✅ 이런 점은 꼭 주의하세요!
항목 | 설명 |
---|---|
이용기간 | 오래 쓸수록 이자 부담 커짐 (짧게 쓰고 빠르게 갚는 게 유리) |
상환방법 | 원금 상환 시점은 자유지만, 이자는 매달 자동 납부 |
신용점수 영향 | 마이너스 상태가 길어지면 신용점수 하락 가능성 |
금리 변동 가능성 | 고정금리 아닌 경우, 향후 이자율이 오를 수 있음 |
💡 마이너스 통장, 이런 팁은 어떨까요?
-
꼭 필요한 금액만 짧게 사용하고 빠르게 갚기
-
마이너스 상태일 땐 카드값 등 자동이체 일자 주의
(예금 부족으로 이중 이자 발생 가능) -
가능하면 월말 전에 일부라도 상환해 이자 줄이기
🧾 마무리 정리
-
마이너스 통장은 사용한 금액부터 이자 발생
-
사용하지 않으면 이자 없음
-
짧게 쓰고 빠르게 갚는 것이 핵심
-
신용점수, 이자 납부일, 금리 변동도 꼭 체크!
✅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
-
“비상금 대비용 통장 만들고 싶은데, 걱정돼요.”
-
“마이너스 통장 써도 괜찮을까요?”
-
“혹시 모르게 금리 폭탄 맞는 건 아닐지…”
그럴 땐 이 글을 꼭 참고해 주세요.
알고 쓰면 덜 무섭고, 똑똑하게 쓸 수 있습니다.
By. 머니레시피 (MONEY RECIPE)